참선
사진정보
- 주제 :
- 제목 :
- 작가 :
- 촬영일자 :
- 촬영장소 :
관리정보
- 관리번호 :
- 저작권자 :
- 라이선스 :
- CCL :
상세설명
관련 주제

참선
참선은 한국불교의 중심이 되는 수행법으로 밖으로 향하는 시선을 안으로 돌려 온전히 '참나'를 만나는 시간입니다.

차담
일상적인 생활과 달리 수행을 하는 스님과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는 것은 템플스테이가 주는 아주 특별한 경험입니다.
108배
불교의 수행은 끊임없는 나를 비우는 시간입니다. 108가지 번뇌를 참회하는 수행법으로 자신의 어리석음을 반성합니다. 108배는 절을 통해 나를 낮춤으로써 겸손을 배우고 새로운 마음을 채우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산행
한국의 전통사찰은 아름다운 자연환경 속에 자리하고 있다. 수행이나 일과 중에 잠시 숲속을 거닐며 신선한 공기를 맛보고, 새나 물소리, 바람소리를 들으며 거니는 것을 산행 혹은 포행이라고 한다. 순간순간 자연과 함께하는 나를 느끼는 것도 중요한 수행 중에 하나이다.

108염주 만들기
염주는 깨달음에 대한 기원을 담아 한 알 한 알 구슬을 꿰어 만드는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기도 용품이다. 연주알의 수가 108개로 된 것을 '108염주'라고 한다. 염주를 돌리며 108가지 번뇌를 소멸시킨다는 뜻이 담겨있다. 직접 만든 나만의 염주를 손 안에 굴리다 보면 흐트러진 마음이 한 곳으로 모아져 동그랗게 이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발우공양
발우는 절에서 스님들이 사용하는 전통 식기이다. 발우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의식에 따라 식사를 하는 것을 '발우공양'이라고 한다. 발우공양은 모든 대중들이 함께 모여 같은 음식을 나누며 물한방울도 낭비하지 않는 청정한 식사이다. 먹는 것 또한 수행으로 여기고 이 음식이 내게 오기까지의 모든 은혜에 감사하면서 깨달음을 이루기 위한 약으로써 음식을 먹는다.